메소드란 멤버변수를 활용하여
인스턴스의 속성값을 초기화 하는것이다
함수와의 차이점은
함수는 지역변수만을 활용하여 연산을 하는것이라면
메소드는 멤버변수에 직접대입을해서 속성의 값을 추가하는것이다

위와 같이 오크라는 객체의 속성을
이름, 데미지 , 체력 , 이동속도 , 혈액형으로 정의해보았다
그리고 메소드를 호출시 호출한 인스턴스가 대입한값에 맞는 변수를
출력하게 된다

결과값

뿐만 아니라 메소드에서 조건문을 사용할때에
문자열끼리의 비교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때엔 equals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연습문제로 user2라는 객체에 비밀번호를 따로 저장하고
그 비밀번호가 맞는지 틀린지에 대한 판단을하는 메소드를
만들어 보겠다

우선 user2에 비밀번호는 555라는 속성을 저장한다

그 다음 그 비밀번호가 맞는지 틀린지에 대한 메소드를 만든다
이때 조건문을 활용하여 비밀번호가 맞다면
"비밀번호가 맞습니다." 를 출력하게 만드려고하는데
문자열은 ==을 쓰는것이 불가능하다
이때 활용할수있는 기능이
equals 라는 메소드를 사용하면 문자열끼리의 값이 똑같은지 확인할수있게된다.

이제 메소드를 호출해서 user2의 비밀번호를 입력해보자

결과
메소드란 멤버변수를 활용하여
인스턴스의 속성값을 초기화 하는것이다
함수와의 차이점은
함수는 지역변수만을 활용하여 연산을 하는것이라면
메소드는 멤버변수에 직접대입을해서 속성의 값을 추가하는것이다

위와 같이 오크라는 객체의 속성을
이름, 데미지 , 체력 , 이동속도 , 혈액형으로 정의해보았다
그리고 메소드를 호출시 호출한 인스턴스가 대입한값에 맞는 변수를
출력하게 된다

결과값

뿐만 아니라 메소드에서 조건문을 사용할때에
문자열끼리의 비교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때엔 equals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연습문제로 user2라는 객체에 비밀번호를 따로 저장하고
그 비밀번호가 맞는지 틀린지에 대한 판단을하는 메소드를
만들어 보겠다

우선 user2에 비밀번호는 555라는 속성을 저장한다

그 다음 그 비밀번호가 맞는지 틀린지에 대한 메소드를 만든다
이때 조건문을 활용하여 비밀번호가 맞다면
"비밀번호가 맞습니다." 를 출력하게 만드려고하는데
문자열은 ==을 쓰는것이 불가능하다
이때 활용할수있는 기능이
equals 라는 메소드를 사용하면 문자열끼리의 값이 똑같은지 확인할수있게된다.

이제 메소드를 호출해서 user2의 비밀번호를 입력해보자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