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ctrl+shift+f = 정렬
ctrl+alt+방향키 위/아래 = 줄그대로 복사

패키지 만들기
자바 프로젝트를 만들고 ctrl +n을 누른다음 new package를 만듬
package는 내가 사용할 언어들을 모아놓는 폴더

클래스 만들기
클래스는 첫글자가 무조건 대문자로 시작하여야함.

변수 = 내가 값을 저장할 공간
변수 초기화 = 공간에 값을 넣는것
변수 선언과 초기화는 동시에 가능하다
ex) int a = 10;
변수는 숫자로 시작할수없다
ex) int 1a =10 --> 오류 발생
특수문자는 _(언더바) 와 $(달러) 표시만 사용 가능하다
ex) int _a=10 --> 정상 출력
int $a=11 --> 정상 출력
int @1a= 12 ---> 오류발생

변수의 값은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변경된다
예를 들어 a의 값을 1이라고 먼저 초기화한뒤
temp값을 a와 같은 값이라고 저장하면
temp와 a의 값은 1이된다
그 후에 a=4라는 값을 초기화 하면
temp =1 a=4 라는 결과가 출력된다.

char 자료형은 2byte 크기의 자료형이다
문자는 이진수로 저장되어있기때문에
우리가 변수에 문자형 값을 넣으면
컴퓨터가 그것을 이진수로 바꾸는 과정을 디코딩
바꾼값을 다시 문자형으로 바꿔서 출력하는 과정을 인코딩이라고 한다
char자료형은 한글자만 출력가능

한번에 3개의 변수를 출력하려면
중간에 ""를 넣어줘야 +가 있어도 따로따로 연결해서 출력한다
""가 없으면 숫자끼리 +연산을 해서 결과가 출력됨.

실수형 자료형은 float과 double이 있음
float에는 접미사f를 붙이지만
double에는 붙이지않고 그냥 초기화

논리형 자료형은 결과값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함
주로 조건문과 반복문에 쓰인다
단축키
ctrl+shift+f = 정렬
ctrl+alt+방향키 위/아래 = 줄그대로 복사

패키지 만들기
자바 프로젝트를 만들고 ctrl +n을 누른다음 new package를 만듬
package는 내가 사용할 언어들을 모아놓는 폴더

클래스 만들기
클래스는 첫글자가 무조건 대문자로 시작하여야함.

변수 = 내가 값을 저장할 공간
변수 초기화 = 공간에 값을 넣는것
변수 선언과 초기화는 동시에 가능하다
ex) int a = 10;
변수는 숫자로 시작할수없다
ex) int 1a =10 --> 오류 발생
특수문자는 _(언더바) 와 $(달러) 표시만 사용 가능하다
ex) int _a=10 --> 정상 출력
int $a=11 --> 정상 출력
int @1a= 12 ---> 오류발생

변수의 값은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변경된다
예를 들어 a의 값을 1이라고 먼저 초기화한뒤
temp값을 a와 같은 값이라고 저장하면
temp와 a의 값은 1이된다
그 후에 a=4라는 값을 초기화 하면
temp =1 a=4 라는 결과가 출력된다.

char 자료형은 2byte 크기의 자료형이다
문자는 이진수로 저장되어있기때문에
우리가 변수에 문자형 값을 넣으면
컴퓨터가 그것을 이진수로 바꾸는 과정을 디코딩
바꾼값을 다시 문자형으로 바꿔서 출력하는 과정을 인코딩이라고 한다
char자료형은 한글자만 출력가능

한번에 3개의 변수를 출력하려면
중간에 ""를 넣어줘야 +가 있어도 따로따로 연결해서 출력한다
""가 없으면 숫자끼리 +연산을 해서 결과가 출력됨.

실수형 자료형은 float과 double이 있음
float에는 접미사f를 붙이지만
double에는 붙이지않고 그냥 초기화

논리형 자료형은 결과값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함
주로 조건문과 반복문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