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Java
this는 자신의 속성,메소드,생성자 등을 호출할때 쓰는 명령어이다 실제로 사용해보자 우선 Person의 멤버변수 String name int age String phone String gender 가 있다 생성자를 생성해서 이 클래스에 인스턴스를 만들때에 name과 age를 입력하도록 만든다 그때 this를 활용하여 이 클래스 name은 인스턴스값을받은 name이 되게 만들수있다. 여기서 생성자를 하나더 생성하려고하는데 같은 값이 중복이될때 this를 활용하여 생성자를 호출해서 중복을 생략할수있다. this(생성자) 즉 지금 여기있는 생성자를 호출하겠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저번시간에 배운 getter setter 메소드에 this구문을 활용해보자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배우다가 이것을 활용해 다중반복문으로 턴제게임도 만들수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바로 실행에 옮겨보자 우선 첫번째로 턴제게임에 필요한것은 무엇일까? 서로 싸우는 캐릭터의 생성부터가 중요하다 나는 Garosh 라는 전사 캐릭터와 Jaina라는 마법사 캐릭터를 싸우게 만들어보겠다. 우선 Jaina에게 필요한 속성은 무엇이 있을까? 나는 이게임에 고정된 데미지를 주는것 보다는 때릴때마다 랜덤한 데미지를 주는것이 더 재밌겠다고 생각하여 Random 클래스를 활용하였다 fire 라는 속성은 60~72까지의 데미지를 랜덤으로 줄수있게 vision 이라는 속성은 15~19까지의 데미지를 랜덤으로 줄수있게 만들어보았다. 그리고 필요한것은 마법사의 이름(Jaina) 마법사의 체력 마법사..
·Java
접근 제어 제시자란 무엇일까? 전단계에서 배운 객체지향 패러다임과 연관이 있다 내가 다른 클래스에서 멤버 변수,메소드,생성자들을 이때까지 그냥 사용할수있었던 defalut값이 자동으로 적용이 되서 그렇다 defalut에 대해선 아래 접근 제어 지시자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자 접근 제어 지시자의 종류를 간단하게 보면 이렇다 즉 내가 해당 클래스 내에서만 멤버변수의 값, 메소드의 기능, 생성자 양식을 설정하고싶다면 private기능을 활용하자 예를 들어 내가 은행 시스템을 만든다고 가정하였을때 은행의 속성(멤버 변수)에는 은행의 이름(name) 내 은행 계좌 잔액(balance) 가 있다고 하자 내가 은행 클래스에서 이름을 우리은행이라고 설정하였는데 다른 클래스에서 이름을 바꿔버리면 곤란한 상황이 온다 이때..
·Java
객체지향 패러다임이란 무엇일까? 아직은 이해가 잘 가진 않지만 내가 이해한 바로는 클래스끼리의 상호작용을통해 복잡하게 만들어놓은 식을 다른 클래스에선 한줄로 간편하게 쓸수있게 만드는 것을 뜻하는것 같다. 위 그림에 비유해 보자면 버스라는 클래스에 버스 번호(이름) 버스 요금 버스 수익금 이라는 속성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와 같은 멤버변수들을 만들수 있을것이다 만약에 내가 이 클래스에 승객이 탑승할때마다 버스의 수익금이 늘어나는 메소드를 작성한다면 현재 버스의 money에 버스 요금을 승객이 탑승할때마다 추가하는 시스템으로 코드를 작성할것이다 위 사진과 같이 내가 pay라는 요금이 들어올때마다 수익금이 늘어나는 형식으로 복합대입연산자를 사용해보았다, 요금이 하나 들어올때마다 승객수는 한명씩 늘어나니까 증감..